1. 파이프라인 만들어보기

new Item → Pipeline 으로 새 파이프라인을 생성한다.

pipeline을 사용해 보는 것이 목적이므로 Pipeline Script를 통해 파이프라인을 사용해본다.

Hello World라는 Test Script를 사용해 빌드해본다.

Untitled

Untitled

2. Jenkinsfile을 Git을 이용해 사용해보기

Pipeline의 Configure에서 SCM의 Jenkinsfile을 사용해 Pipeline을 사용할 수 있다.

Untitled

github에 Jenkins 파일을 push 후 해당 url을 기입하여 사용하였다.

Untitled

Jenkinsfile

pipeline{
    agent any

    triggers {
        pollSCM('* * * * *')
    }

    stages {
        stage('Checkout'){
            steps {
                git branch: 'master',
                url: '<https://github.com/LeeHyeonHo-127/jenkins_webapp>'
            }
        }

        stage('Build'){
            steps {
                sh 'mvn package -Dmaven.test.skip=true'
            }
        }

        stage('Test'){
            steps {
                sh 'mvn test'
            }
        }

        stage('Deploy'){
            steps{
                deploy adapters: [tomcat9(credentialsId: 'tomcat_manager', url: '<http://192.168.56.102:8080>')], contextPath: null, war: 'target/hello-world.war'
            }
        }
    }
}